본문 바로가기
배당주 종목 분석/2023년 배당도전자

미국 배당주 배당도전자 종목 분석(7) : D R 호턴(DHI)

by 은퇴설계자 2023. 2. 21.
반응형

제가 오늘 분석할 미국 배당주 배당도전자는 D R 호턴(DHI)입니다. 

 

배당가치 투자전략으로 미국 배당주를 분석합니다. 배당 지표만을 확인한 후 매수할 예정이다. 종목 분석할 시간이 부족한 나에게 딱 맞는 투자법임을 확신하고 2023년 한 해 동안 이 투자법이 시장수익률을 넘을 수 있는지 확인할 것이다.


종목 개요

 

D R 호턴은 주택 건설 회사이다. 이 회사는 토지의 취득, 개발, 주택의 건설, 매매에 종사한다. 이 회사는 주택 건설, Forestar 부지 개발, 금융 서비스 및 임대 운영부문을 통해 운영된다.


주택 건설 사업은 33개 주에 걸쳐 106개 시장에서 운영된다. Forestar 부지 개발 부문은 21개 주에 걸쳐 53개 시장에서 운영된다.

금융 서비스 부문은 회사의 많은 주택 건설 시장에서 주택 구매자에게 모기지 금융 및 소유권 대행 서비스를 제공한다.
임대 부문은 다세대 및 단일 가족 임대 운영으로 구성된다. 다가구 임대 사업은 주거용 임대 부동산을 개발, 건설, 임대, 판매한다.

단독 주택 임대 사업은 주로 지역 사회 내에서 단독 주택을 건설, 임대한 다음 임대 주택의 대량 판매를 위해 각 지역 사회를 마케팅한다.
이 회사의 브랜드로는 Emerald Homes, Express Homes 및 Freedom Homes가 있다.

 

 

기업 정보

기업명 D.R. Horton, Inc. (DHI) 베타(5년 월간) 1.53
상장거래소 NYSE PE Ratio(TTM) 6.16
섹터/산업 Consumer Cyclical / Residential Construction EPS(TTM) 16.10
시가총액 34.078B 배당금 (배당률) 1.00 (1.01%)
52주 최저 / 최고 59.25 - 104.14 배당 시기 2월, 5월, 8월, 12월

출처 야후파이낸스


배당요약

DHI는 1997년부터 배당을 지급하고 중간에 몇 차례 배당컷이 있었다. 현재 시가배당률은 1.01%로 시장평균을 하회한다. 5년간 배당성장률은 17.45%로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배당성향은 5.73%로 믿기 어려울 정도로 낮은 수치이다. 향후 이익이 감소하는 상황에서도 배당증액은 어렵지 않을 것이다. 

 

배당히스토리

배당 시기는 2월, 5월, 8월, 12월이며 2019년까지는 11월 배당했으나 2020년부터 12월 배당으로 바뀌었다. 배당지급일이 일정하지 않다. 배당 증가 연수가 길지 않지만 배당성장률이 급격한 변화 없이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배당성장

5년간 배당성장률은 16.83%로 배당성장주로서 매력적이다. 2015년에 33% 상승 후 상승률은 대체로 줄어들고 있다. 상승률이 감소하기는 했으나 여전히 높은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배당성향

배당성향은 5.44%~13.95%이다. 지나치게 낮은 배당성향은 주주환원정책에 소원해보이기도 한다. 하지만 과거 배당컷이 2번 발생했고 이를 반복하지 않기 위해 낮은 배당성향을 유지하는 것으로 보이기도 한다.

 

배당수익률

현재 배당수익률은 0.96%로 시장수익률은 하회하고 있다. 역사적 배당수익률로 보면 현재 매수하기에 매력적인 가격은 아니다.

투자지표

매출

당기
순이익

주당
배당금

배당
성향
잉여
현금
흐름

매출과 당기순이익이 안정적으로 상승하고 있고 주당배당금도 역시 이에 따라 증액되고 있다. 하지만 당기순이익의 증가에 미치지 못한 배당성장률은 지나치게 낮은 배당성향을 보여준다. 10%도 넘지 않는 배당성향은 배당금증액에 대한 여지로 생각할 수도 있지만, 주주환원정책에 대한 회사의 의지가 없어 보이기도 한다. 잉여현금흐름은 다소 불안정한 모습이다.

 


매수 결정

 

항목 배당히스토리 배당성장률 배당성향 배당수익률 투자지표
배당신호
🟢🟡🔴
🟢 🟢 🟡 🔴 🟡

안정적인 배당히스토리, 16%대의 배당성장률, 10%대보다 낮은 배당성향, 매출과 당기순이익의 증가는 배당성장주로서 매력적인 모습을 보여준다. 반면, 1% 미만의 낮은 배당수익률은 배당금 재투자를 활용한 복리의 효과를 약해질 여지가 있다. 그리고 너무 낮은 배당성향은 안정적인 배당을 위한 것인지, 주주환원정책에 소홀한 것인지 알 수가 없다. 

 

처음 배당도전자를 분석할 당시에는 매력적인 주식으로 판단하여 매수했다. 270개의 배당도전자의 배당지표를 모두 점검한 후 다시 DHI를 분석해 보니, 이를 대체할만한 좋은 기업들이 많이 있다. 같은 섹터 내에서도 배당지표가 더 훌륭한 기업들이 많이 있다.

 

배당컷이 발생한 이력이 있는 회사는 가급적 매수를 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나, 종목을 분석할 당시에 이를 제대로 확인하지 못했다. 그리고 낮은 배당률은 커버할 만큼의 배당성장률이 가지고 있지도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는 그 당시에 이 주식을 매수했다.

 

평균 단가 92.70달러로 3주 매수 완료!

 

 

 

 

- 본 포스팅은 참고용으로 보시길 바랍니다. 투자에 대한 모든 판단과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