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구배당왕2

배당왕 - 삼성증권 리서치센터(김중한, 한주기, 문준호) [2/2] 4. 미국 배당주 끝판왕? - Old Kings, New Kings 구관이 명관, Old Kings 배당주라고 해서 만능은 아니다. 매크로, 섹터, 개별 기업 이슈로 인해 변동성이 확대될 여지가 있다. 배당주도 여전히 자본 손실을 감수해야 하는 위험 자산이다. 100년이 넘는 역사를 자랑하는 GE나 워런 버핏까지 손실을 떠안아야 했던 테바 제약의 몰락을 기억해야 한다. 배당왕(Old Kings)의 저력은 50년이란 긴 세월 동안 꾸준히 배당을 늘려왔는 것이다. 전체 상장기업 중 단 0.4%(26개)에게만 허락된 자리다. 시가총액 10조 원 이상으로 한정할 경우 15개 기업이 해당된다. 미국 기업의 평균수명은 20년에도 미치지 못한다. 지속 기업으로서의 지위를 유지하며 배당까지 꾸준히 증액할 수 있는 경우.. 2023. 1. 28.
배당왕 - 삼성증권 리서치센터(김중한, 한주기, 문준호)[1/2] 제가 리뷰할 책은 삼성증권 리서치센터의 입니다. 2020년 2월 10일 코로나 사태 직전에 발행된 책이다. 금융 위기 후 대대적인 유동성 공급에도 불구하고 경기 침체에 대한 공포가 시장을 지배하고 있다. 늘어난 유동성은 빈부 격차를 심화시키고, 글로벌 고령화로 인한 비용 증가와 세대 간 갈등도 점입가경이다. 주식 투자하기에 좋은 환경이 아니지만 모든 주식을 팔고 도망가는 것이 능사는 아니다. 대안은 미국 배당주 투자이다. 미국 배당주 투자의 장점을 아주 설득력 있게 제시했고, 좋은 배당주를 고를 수 있는 안목을 키울 수 있도록 30개 종목을 구체적으로 분석해주었다. 이 책의 핵심내용은 다음과 같다. 미국 배당주 투자는 장기적으로 시장을 뛰어넘는 검증된 전략이다. 심지어 기축통화인 달러 자산이기에 위기에 .. 2023. 1.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