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배당킹4

배당왕 - 삼성증권 리서치센터(김중한, 한주기, 문준호) [2/2] 4. 미국 배당주 끝판왕? - Old Kings, New Kings 구관이 명관, Old Kings 배당주라고 해서 만능은 아니다. 매크로, 섹터, 개별 기업 이슈로 인해 변동성이 확대될 여지가 있다. 배당주도 여전히 자본 손실을 감수해야 하는 위험 자산이다. 100년이 넘는 역사를 자랑하는 GE나 워런 버핏까지 손실을 떠안아야 했던 테바 제약의 몰락을 기억해야 한다. 배당왕(Old Kings)의 저력은 50년이란 긴 세월 동안 꾸준히 배당을 늘려왔는 것이다. 전체 상장기업 중 단 0.4%(26개)에게만 허락된 자리다. 시가총액 10조 원 이상으로 한정할 경우 15개 기업이 해당된다. 미국 기업의 평균수명은 20년에도 미치지 못한다. 지속 기업으로서의 지위를 유지하며 배당까지 꾸준히 증액할 수 있는 경우.. 2023. 1. 28.
배당주 투자 무작정 따라하기 - 이래학(달란트투자) [3/3] 다섯째 마당 배당도 글로벌, 미국 배당주 투자 영알못도 미국 배당주를 알아야 하는 이유 주주환원의 원조는 미국 주식이다. 코스피 시장의 자기자본이익률(ROE, Return On Equity) 지난 10년 간 10%를 넘긴 적이 손에 꼽힌다. 하지만 S&P500 지수의 반대로 10% 이하로 떨어진 적이 없다. ROE는 순이익을 자본총계로 나눈 값이다. ROE를 높이기 위해서는 분자인 순이익이 커지거나 분모인 자본총계를 줄이면 된다. 기업이 ROE를 높이기 위해 자본총계를 줄이는 행위는 배당과 자사수 매입이 대표적이다. 성숙기로 접어든 기업이 더 이상 성장만으로 주주가치를 올리기 힘들 때 사용하는 방법이다. 벌어들인 돈을 회사에 쌓아놓지 않고 주주들에게 환원하는 것이다. 한국과 다른 배당 스타일을 가지고 있.. 2023. 1. 26.
배당주 투자 무작정 따라하기 - 이래학(달란트투자) [2/3] 셋째마당 수익률을 높이는 배당투자 고급전략 배당성향으로 어닝서프라이즈 예측하기 배당성향이 일정한 기업은 순이익과 배당총액이 같은 방향으로 움직인다. 순이익이 증가하면 배당금도 증가하고 반대로 순이익이 감소하면 배당금도 줄어든다. 따라서 둘 중 하나면 알면, 나머지 변수도 유추할 수 있다. 상속과 증여 이벤트에서 찾는 배당투자 아이디어 대규모 상속세 또는 증여세 납부 이슈가 발생하면 일반적으로 배당 확대 기대감이 생긴다. 상장사 최대주주 일가는 재산의 상당 부분을 현금이 아닌 주식으로 보유하고 있다. 합법적으로 회사에서 돈을 회수하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다. 주식을 파는 것과 배당이다. 최대주주 일가는 보유 주식을 팔면 회사에 대한 지배력이 낮아지기 때문에 보유한 지분만큼 현금을 확보할 수 있는 배당을 선.. 2023. 1. 25.
배당주 투자 무작정 따라하기 - 이래학(달란트투자) [1/3] 제가 리뷰할 책은 이래학의 입니다. "천천히 가는 것 같지만 결국 늘어나는 배당주의 힘"이라는 프롤로그로 시작되는 이 책은 성장주 투자로 큰 시세차익만을 노리던 투자전략을 가지고 있던 나를 배당주 투자로 이끈 책이다. 실력이든 운이든 몇 번만 잘 맞추자는 식의 투자를 좀 더 데이터에 근거한, 그리고 마음 편한 투자로 바꿀 수 있는, 나의 생각을 바꿀 정도로 설득력이 있는 내용으로 가득하다. 좋은 배당주 종목을 고를 수 있는 여러 가지 지표들과 투자 성향에 따른 포트폴리오 구성 방법을 제시하여 실전 투자에서 방향등 역할을 확실히 해준다. 이 책의 핵심내용은 다음과 같다. 주식초보자에게 가장 적합한 투자대상은 배당주이다. 그 이유는 꾸준히 배당을 지급하는 주식은 우량기업일 가능성이 높다. 5년 이상 일관된 .. 2023. 1. 24.
반응형